지난 8일 넥슨개발자콘퍼런스(이하 NDC22)에서 넥슨은 대표 IP '메이플스토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탄생을 예고해 업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는 메이플스토리의 대체불가토큰(이하 NFT)이 공유되는 공간이다. 각종 메이플스토리 기반 게임들이 존재하는 형태의 세계관이라고 볼 수 있다. 넥슨은 "메이플스토리라는 자사의 핵심 IP가 여러 게임에 서로 공유되니 NFT의 영속성에서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긴 요소는 'NFT의 가치 보존'이었다. 이 부분은 내용이 너무 방대한 만큼 추후 단독 자리를 통해 상세하게 공유할 계획이다. 강대현 넥슨코리아 COO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콘텐츠로는 메이플스토리 IP 기반 RPG인 '메이플스토리 N', 메이플스토리 샌드박스 제작 플랫폼 'MOD N', 메이플스토리 N의 모바일 버전인 '메이플스토리 N 모바일', NFT 기반 앱 개발 시스템 '메이플스토리 N SDK'를 준비 중이다.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단연 '메이플스토리 N'이다. 이 게임은 메이플스토리에 NFT와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킨 신규 MMORPG로 플레이를 통해 NFT 토큰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아이템들은 NFT화가 가능하다.

이때 "아이템을 NFT화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라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생길 것이다. 강 COO는 "유저가 아이템의 소유권을 갖고 자유로운 거래와 비전이 가능하다"며 "유저의 소유권에 의한 자유 시장 경제가 형성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메이플스토리 N에서는 캐시샵이 존재하지 않는다. 당연히 과금 모델로 판매되는 유료 상품도 없어 게임 플레이만으로 모든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넥슨은 투명하게 공개될 토크노믹스를 바탕으로 보상을 분배해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메이플스토리 N의 경제 활동에는 수수료가 발생하고 해당 수수료는 넥슨과 유저 등 생태계 기여자들에게 분배된다. 넥슨도 기여자 중 하나로 기여받는 것이다.

강 COO는 '잘 나눈다는 것'이라는 슬로건을 강조했다. 그는 "이 원칙을 바탕으로 모두의 기여와 노력으로 큰 성장을 이뤄낼 것을 기대한다"며 "이를 통해 생태계가 확장되고 미래에는 현재의 가치보다 훨씬 더 성장한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는 미래를 꿈꾸고 있었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모바일 버전도 함께 제공한다. 메이플스토리 N과 캐릭터 NFT를 공유하는 만큼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플레이가 가능하다.

MOD N은 PC와 모바일 플랫폼을 넘나드며 쉬운 개발이 가능한 블록체인 게임 제작 샌드박스 플랫폼으로 유저들은 메이플스토리 N을 통한 NFT와 외부 NFT를 통해 나만의 게임을 제작할 수 있다. 약 20년 동안 제작한 3,000만 개 이상의 에셋을 제공하는 MOD N으로 제작된 게임은 크리에이터의 소유가 된다. 여기에는 NFT 기반의 유니크 콘텐츠가 다수 제작될 거라는 기대감이 담겨있다.

MOD N과 함께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에서 얻은 NFT를 활용해 앱을 만드는 SDK로 생태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강 COO는 "MOD N으로 만들어진 게임은 인기에 따라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기여도가 측정되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다"며 "SDK를 통해 MOD N에서 만들 수 있는 그 이상의 참신한 아이디어들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고 전했다.

SDK 활용 예시로는 '굿즈 제작 펀딩 앱'. '헬스케어 앱', '글로벌 퀘스트 앱' 등이 있었다. 넥슨은 만에 하나 메이플스토리의 모든 블록체인 게임과 서비스가 사라지더라도 SDK 서비스를 유지해 NFT의 지속적인 사용처를 제공하는 안전장치까지 보장했다.

또한 넥슨은 자사의 NFT 시스템을 단순히 메이플스토리에 한정시키는 것이 아닌 던전앤파이터, 마비노기, 카트라이더, 바람의 나라 등 다른 인기 게임들과 융화되어 안정성이 더욱더 상승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다만 한국을 포함해 블록체인 서비스를 선보일 수 없는 지역이 여전히 많다는 것은 고민거리로 남아있다. 이는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의 일관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로 넥슨이 아무리 권한을 최소화해도 게임 특성상 업데이트를 통해 미치는 생태계 영향력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고민은 앞으로 계속 배우고 고민하면서 해소하겠다고 약속한 강 COO. 그의 설명을 들은 시청자들은 "의외로 철저하게 준비했네", "안전장치를 고민하는 것만으로 훌륭하다", "한국에서도 빨리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등 기대감을 표했다.

"게임과 블록체인 세계가 융합하는 가상 세계의 진화". 단 하나의 꿈을 품고 메타버스 세계에 발을 들인 넥슨이 게임과 블록체인 결합에 대한 인식을 '물음표'에서 '긍정적 확신'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지 업계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