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학계의 거두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가 대체불가능토큰(NFT) 시장의 성공 요인으로 '팬덤'을 꼽아 주목된다.

김 교수는 "현재 NFT, 블록체인, 암호화폐에 거품이 많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런데 단순히 투자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닌 어떻게 응용할 것인지를 우선적으로 고민한다면 한국과 같은 콘텐츠 강국에서는 굉장히 좋은 비즈니스 모델이 나올 겁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10일 2022 넥슨개발자콘퍼런스(이하 NDC22)에서 'NFT, 게임의 혁명인가 신기루인가'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그는 NFT를 활용한 사업이 성공하기 위한 조건으로 "상징성과 역사성, 강력한 팬덤 보유가 NFT 사업의 성공 요인이 될 것"을 강조했다.

역사성으로는 '크립토키티'의 사례를 언급했다. "ERC-721 NFT라는 표준을 적용한 최초의 프로젝트로 일종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리고 버거킹의 사례를 예로 들며 "여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준비해야 NFT의 생명력이 늘어난다"고 전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NFT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선 NFT를 붙인 콘텐츠를 구매하는 강력한 팬덤이 필요하다. 또한, 형성된 팬덤이 꾸준하게 유지될 수 있어야 NFT의 가치도 지킬 수 있는 조건도 충족돼야 한다.

이미 시도 중인 NFT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명품 업체들은 품질 보증서를 NFT로 대체하고 있다.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중고 시장을 통제하고 모조품이 유통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며 "미술품에 NFT를 붙일 경우 매매 이력이 남게 되면서 2차, 3차, 4차로 매매되더라도 원작자가 로열티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추가로 그는 NFT가 사람들이 SNS를 통해 미술품을 자랑하고 싶은 욕심을 충족시켜주면서 누구나 원본의 소유주를 확인할 수 있는 게 특징이라고 짚었다. "현재 NFT는 여느 미술품처럼 역사성과 상징성을 더해가고 있다"며 "당분간 NFT 미술품 열풍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메타버스와 NFT의 결합 가능성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소개했다. "전문가들은 미래에 굵직굵직한 메타버스 6∼7개 정도만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면 우리는 각각의 메타버스마다 아바타를 만들 필요가 없다. 해외여행을 다니듯 자기 아바타를 가지고 넘나들 거라고 본다"고 전했다.

특정 회사 서버에 아바타의 정보를 저장하는 대신 중립지대인 블록체인에 저장해 이를 다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다.

이어 그는 "과거 유행한 싸이월드 같은 메타버스에서 이용자들은 단순한 소비자였다. 그러나 로블록스 등에서는 이용자가 게임을 제작해 수익을 내고 이를 회사와 나눠가질 수 있다. 즉, 블록체인은 이용자가 소비자 겸 생산자인 프로슈머가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