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계에 블록체인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기대감 만큼 회의적 시선도 커지는 상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많은 사람들이 블록체인, 또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게임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여전히 물음표가 남아있는 상태다.

블록체인을 떠올리면 '코인', 그리고 블록체인 게임을 생각하면 Play To Earn(이하 P2E) 게임이 떠올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지금은 산업 초창기인 만큼 코인이나 아이템을 팔아서 돈을 번다는 부분이 더 크게 노출됐기 때문이다.

넥슨 강대현 COO는 "단순히 이런 표면적인, 초기의 불완전한 과정들만 보고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 전체를 단정 짓는 것이 과연 맞을까라는 고민을 많이 했다"며 "이를 통해 블록체인에 대한 생각의 전환을 하게 됐다"고 전했다.

초기 온라인 게임은 콘솔 게임업체와 게이머들에게 부정적인 시선을 받았다. 모바일 게임과 스마트폰 게임 또한 초창기에는 부정적인 시선이 더 많았다. 그러나 현재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은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강 COO는 "현재의 상황은 산업 변화 초기의 혼란기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이 변화를 P2E만이 아닌 블록체인의 가능성 자체에 포커스를 맞춰보니 매우 큰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기존 온라인 게임의 닫힌 생태계를 열린 생태계로 확장하는 수단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넥슨은 그동안 패키지 게임에서 PC 온라인 게임, 모바일 게임으로의 발전을 가상세계의 진화로 해석해왔다.

같은 관점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가상 세계의 진화라는 측면에서 넥슨에게 매우 매력적인 요소로 다가왔고 블록체인을 가상세계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 다른 가상세계와 융합하는 통합 플랫폼이자 통합 가상세계라는 관점으로 바라보면 새로운 혁신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그는 블록체인의 특성 중 '투명성', '오픈형 생태계', '가치의 저장'이라는 3가지 요소에 집중했다. 블록체인은 온체인에 모든 정보를 기록해 누구나 볼 수 있는 투명성을 보유했고 열린 생태계를 통해 누구나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고 기여도에 따른 보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NFT와 토큰을 통해 그 가치를 저장하고 교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강 COO는 "넥슨은 항상 가상세계를 진화시키는데 관심이 있는 회사다"며 "비디오 게임의 로컬 유저에게만 통용되는 오프라인 가상세계라는 한계를, 서버를 바탕으로 수천만 명이 참여하는 넓은 가상세계로 확장해 나간 것은 넥슨이 처음부터 해왔던 일이다"고 설명을 이어갔다.

이어 "모바일 게임은 그 가상 세계의 개수와 크기를 매우 크게 열어준 진화이자 대중화였다"고 말한 그는 "하나의 세계관과 통일성으로 완성된 세계는 분명 의미가 있지만 아이템, 캐릭터, 게임머니 등 모두 다 한 게임 안에서만 통용되는 폐쇄적 한계를 넘지 못했다"며 "블록체인 생태계는 그 한계를 열고 각자만의 세계들을 하나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고 확신했다.

이를 위해 유용한 인프라셋, IP, 세계관, 인정받는 커뮤니티와 의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블록체인으로 하나의 게임이라는 닫힌 생태계를 열린 생태계로 확장시키는 것이 그의 궁극적 목표다.

그는 "넥슨은 NFT가 자유롭게 이동하는 가상세계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다. 글로벌 시장에서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를 시작으로 넥슨의 여러 IP 뿐만 아니라 전 세계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에 메이플스토리 NFT가 진출하고 또 다른 NFT 프로젝트들이 메이플스토리 안으로 들어오면서 서로의 경계를 넘나들며 활용처를 확장하고 서로 융합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곧 우리의 비전이다"며 "이것이 넥슨이 생각하는 블록체인 게임, 블록체인 기반의 진화된 가상세계의 모습이다. 넥슨은 블록체인 커뮤니티 안에서 함께 만들어 나가는 생태계의 일원이 되고자 한다. 블록체인에 대한 넥슨의 생각과 현재 준비 중인 프로젝트의 첫 시도에 대해 관심있게 지켜봐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