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임학회가 25일 서울 강남 토즈에서 제11대 한국게임학회 출범을 기념한 기자간담회를 열고 10대 활동으로 거둔 성과와 11대의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11대 학회의 과업은 ▲글로벌 연구 역량 강화 ▲사회적 공헌 ▲정부 및 산업의 협력 및 정책 대안 제시 등 3가지 방향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주춤했던 글로벌 공동 연구를 재개하고, 게임의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고 부정적 인익 요인을 차단하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산학관이 협력해 ‘게인산업진흥원(가칭)’을 설립하고 확률형 아이템이나 메타버스 정책 등 게임 산업이 직면한 여러 이슈들을 다루겠다는 것이 목표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은 게임물관리위원회의 현재 모니터링 시스템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전국 게임관련학과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게임 기사단(가칭)’이라는 모니터링 단체 설립을 제안했다. 위 학회장은 “일부 게임사들이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심의 결과가 대략 한달이 걸리는 점을 악용해 선정적, 사행성 이슈가 있는 이벤트를 열고 빠지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게임 기사단은 모든 게임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발생하는 특정 게임을 집중 감시하는 역할을 맡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위 학회장은 중국 판호 발급 중단에 대해서도 시급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판호 발급 중단으로 잃은 한국 게임의 기회 비용은 약 13~15조원에 달한다”며 “정부와 게임사들이 판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우리 학회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해 당사자들은 왜 가만히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학회는 메타버스, NFT 등 게임산업에 새롭게 불고 있는 트렌드에 대해서도 정책 마련에 필요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위 학회장은 “게임 규제를 피해 메타버스를 만들고 그 안에서 자유롭게 코인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일부 있는 것 같다”며 “게임 규제를 푸는 것은 맞지만, 단순히 (현재 규제를 피해) 메타버스로 옮긴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NFT와 메타버스는 게임 산업 발전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협회는 NFT, P2E에 대한 정책을 수립할 때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놓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