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코드 토론회에서 “도파민 분비 문제 없어” 설명

[사진제공=한국게임미디어협회]

한국게임미디어협회와 한국게임기자클럽이 24일 서울 역삼동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한 인지과학전공의 이경민 교수를 초청해 게임 질병코드 관련 토론회를 진행했다.

이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학과(신경과학교실)와 대학원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의 교수로서 행동신경학과 인지신경과학을 전공했다. 최근 정부가 WHO(세계보건기구)의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재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민환협의체의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 교수는 게임을 중독물질로 규정하는 주 근거 중 하나인 신경전달물질 도파민 분비에 대해 “밥 먹을 때도, 연애할 때도 분비되는 물질”이라고 설명했다.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게임을 즐길 때 분비된 도파민의 양은 평소보다 약 30~50% 증가한다. 이는 음식을 먹을 때 분비된 양과 비슷했다. 반면 코카인의 경우 1200% 증가했다.

[사진제공=한국게임미디어협회]

이 교수는 “도파민이 지나치게 분비되면 신경전달체계에서 엄청난 교란을 일으키지만, 정상적 범위 내에서 분비되는 것은 아무 문제 없다”며 “게임을 할 때 도파민이 나오니까 게임은 중독물질이라는 논리는 엉터리 삼단논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엉뚱한 논리를 내세우는 이유는 전제되는 정보를 잘 몰라서 그럴 수도 있고, 혹은 알면서도 사악한 의도로 그럴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게임을 할 때의 뇌 활동은 마약을 하는 사람의 뇌 활동과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약을 할 때 뇌에 변화가 일어나는데, 게임을 할 때의 뇌에는 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며 “오히려 게임을 많이 한 사람의 뇌와 유사했다”고 말했다.

게임이 뇌에 유용하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게임을 통해 새로운 것을 경험할 수 있고, 반복학습을 통해 인지 효율성이 증대되며, 실제 현실에서는 위험할 수 있는 것들을 안전하게 경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제 해석으로는 게임을 질병의 관점으로 바라볼 게 아니라 인지능력 발달의 과제로 봐야 한다”며 “또 게임의 부정적인 요소에 집중하거나 문제를 개개인이 책임질 문제로 보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