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메타버스 플랫폼인 '컬러버스'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컬러버스는 카카오의 자회사인 넵튠이 선보일 예정인 3D 가상공간 기술을 활용한 오픈형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7일 카카오 유니버스 온라인 감담회에 참석한 정욱 넵튠 대표는 "컬러버스에서는 이용자들의 취향에 맞는 그래픽으로 메타버스 세상을 구현할 수 있다"며 "누구나 쉽고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빌더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작 프로그램의 허들이 낮은 컬러버스는 크리에이터들이 자신만의 멋진 공간을 실시간으로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줄 거라는 기대감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컬러버스는 웹스트리밍 기술을 활용해 2D와 3D간 아무런 제약 없이 넘나들 수 있다. 카카오 친구 리스트에서 별도의 앱 설치 없이 바로 3D 메타버스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카카오나 멜론의 앱 또는 웹 환경에서 3D로 구현된 컬러버스 월드로 접근이 가능하며 반대로 컬러버스에서 멜론이나 카카오로 자연스러운 복귀도 자유롭다.
이에 따라 컬러버스는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유저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컬러버스의 프로모션 영상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어떠한 외부 방문 없이 심리스한 환경에서 즉석 은행 업무를 보고 디바이스에 상관 없이 내가 보고 싶은 웹툰이나 웹소설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그 안에서 동일한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고 함께 어울리며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카카오의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들을 메타버스화함으로써 더욱 구체화될 것이며, 타 서비스 기업 및 산업군에서도 컬러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계획이다.
유명 신발이나 의류 브랜드 관련해서 홈페이지, SNS 채널과 같은 모바일 및 웹 환경에서 별도의 앱 설치나 회원가입 없이 바로 3D 메타버스 월드로 접속할 수 있다. 이 월드에서는 특정 제품을 아바타에 입혀보거나 미니게임을 제공하는 등 기초적인 프로모션 활동에서부터 브랜드와 관련된 의미 있는 동영상 상영이나 작품 전시회 등도 손쉽게 기획하고 진행할 수 있다.
브랜드의 메타 월드는 컬러버스 방문자들이 즐길 수 있는 또다른 콘텐츠가 됨과 동시에 기업에게는 훌륭한 마케팅 채널로 작용하게 되며, 하나의 관심사로 모인 사용자들의 자연스러운 커뮤니티 형성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여러 브랜드들은 그들의 아이덴티티에 맞는 아바타와 메타버스 공간을 구현하고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와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액티비티와 유저 경험을 선사하는 것도 컬러버스의 순기능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진정한 나의 분신인 아바타를 제작하고 그 아바타로 컬러버스 유저들과 소통하며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영역 제한 없는 월드를 경험할 수 있다. 아이템, 아바타, 랜드와 같은 컬러버스 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고 판매할 수도 있다.
크리에이터가 만든 콘텐츠는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판매되고 그 콘텐츠를 구매한 유저는 콘텐츠를 사용하거나 재가공해 다시 판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무한 창작을 가능케함으로써 컬러버스 내 활발한 경제 순환을 촉진시킨다.
관심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다양한 커뮤니티 또한 자신들에게 맞는 공간을 만들어 공감대 중심의 창작 활동을 펼치고 이러한 창작 콘텐츠는 컬러버스의 경제 시스템과 어우러져, 커뮤니티 구성원은 단순 소비자가 아닌 컬러버스 내 경제의 핵심 구성원이 되어 메타버스 생태계의 '주체'가 된다.
관련해서 남궁훈 카카오 대표는 "메타버스 세상에 캐릭터들이 스스로 행동하는 체계를 구성하는 것은 텍스트를 근간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적절하다"며 "텍스트에 집중하는 메타버스 시대를 준비할 것이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