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의 ‘드론 특별 자유화구역’. 사진제공=김천시
김천의 ‘드론 특별 자유화구역’. 사진제공=김천시

로봇과 드론 등 스마트 물류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물류실증단지’가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 디지털 물류실증단지 조성 지원사업’으로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사업 4건, 물류시범도시 조성 지원사업 2건 등 총 6건을 선정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그 중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은 로봇·드론 등 스마트 물류기술을 활용해 새 물류서비스를 실증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지자체와 공공기관은 사업 규모, 특성 등을 고려해 5억∼2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물류계획을 마련하고 서비스 실증을 추진한다.

■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김천시·경북도 로봇·드론배송 선정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지원사업으로는 △ 김천시·경북도(로봇·드론배송 등 교통안전 디지털 물류혁신도시) △부산시(중소기업 간 협업형 라스트마일 서비스) △진안군(농촌지역 과소화 마을 맞춤형 생활물류 서비스) △제주도(제주형 공유물류 플랫폼 구축) 등이 선정됐다.

김천시(시장 김충섭)는 경북도와 함께 물류센터와 배송지 간 드론 배송, 공공건물·오피스텔을 대상으로 한 자율형 물류로봇 배송서비스 등을 실증한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실증 과정상에서의 정보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최적 운송 솔루션 모델을 구축한다.

참여기관은 김천시, 경상북도, 한국도로공사,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영남대학교, SK플래닛, CJ대한통운, 메쉬코리아 등 12개다.

김천시는 지난 2월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인 ‘드론 특별 자유화구역’에 선정되었다. 김천시에 자유화 구역이 지정되어 2022년까지 운영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이 김천을 방문해 다양한 실증을 진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가 드론 실기 시험장은 2023년까지 총사업비 297억을 투입해 김천시 개령면 덕촌리 일원에 58,000㎡ 규모로 활주로와 드론 시험장, 운영센터, 통제센터 등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 부산시, 친환경 모빌리티를 활용한 라스트마일 서비스

부산시는 도심 내 복잡한 교통 여건을 고려해 시범지구를 대상으로 소형 물류거점을 확보하고, 친환경 모빌리티를 활용한 라스트마일 서비스를 선보인다. 라스트 마일이란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에게 배송되기 바로 직전의 단계를 말한다.

진안군은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공동보관함을 설치해 순회 집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화폐와 연계한 결제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또 제주도는 공유물류 통합플랫폼을 구축해 이용자와 공급자 간 물류거래 서비스와 시설정보 공유서비스를 추진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