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UAM분야 글로벌 생태계 조성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기 위한 글로벌사실표준화기구 설립이 내년 상반기 정식 출범을 목표로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지원하는 ICT표준화포럼 중 하나인 G3AM(Global Assotiaion for Advanced Air Mobility)은 지난 17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국내외 AAM관련 산학연 전문가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G3AM 설립준비위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G3AM은 UAM을 포함한 AAM분야 글로벌 표준을 주도할 사실표준화기구를 내년 상반기에 공식 출범시키기로 하고 실무준비작업에 착수했다.
G3AM 준비위(위원장 문우춘 항공우주산학융합원 연구소장)에는 정부의 UAM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에 참여하고 있는 현대자동차-한화시스템-인천공항공사-한국공항공사-대한항공-KT 등 K-UAM 팀코리아의 주요 핵심기업과 연구기관 등 40개기관 전문가 70여명이 회원으로 참여했다.
이날 준비위 출범식에 이어 버티포트분야애서 세계선도기업인 영국 스카이포츠(Skyports)가 글로벌 표준개발에 협력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고 창립멤버로 참여했다.
또 글로벌 AAM솔루션 분야 양대 전문기업인 미국 ANRA테크놀로지사와 원스카이가 한국의 파인VT 로보틱스랩과 함께 교통관제 버티포트 항행안전 항공기운항 등과 관련된 솔루션의 글로벌 표준화에 참여키로 했다.
여기에 4~5개 글로벌기업들도 참여를 검토하고 있어 내년상반기에는 글로벌기구로서 면모를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날 준비위 출범식에 이어 AAM글로벌 생태계 조성과 표준개발을 위한 협력방안에 대한 컨퍼런스가 열렸다. 국토부 도심항공교통정책과의 조재익 사무관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정책 추진현황’이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을 펼쳤다.
원스카이의 크리스토퍼 쿠세라 의장과 볼로콥터의 CTO인 올리버 레인하트가 각각 ‘How UAM is changing our concept of ATM’, ‘Bringing Urban Air Mobility to Life’을 주제로 발표했다.
또 K-UAM GC 간사를 맡고 있는 KRAI 오경륜 책임이 ‘K-UAM 실증사업 진행 현황 및 5G 상공망도입 현황 소개’에 대해 발표했다. 현대자동차 정창훈 책임이 ‘현대자동차의 AAM 보안 표준화 전략’, 한화시스템 전정규 팀장이 ‘UAM 사업 소개 및 기체 인증 동향’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에 대해 G3AM의 사무국인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KRAUV) 관계자는 “정부의 UAM실증사업인 K-UAM그랜드챌린지(GC)가 세계에서 가장 획기적이라 글로벌기업들의 관심이 뜨겁다”며 “G3AM은 정부GC에서 얻어진 데이터의 표준화를 지렛대로 조기에 글로벌 사실표준화기구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 K-UAM 그랜지 챌린지(실증사업)은?
한국형 그랜드챌린지(K-UAM GC)는 도심항공교통(UAM)의 2025년 국내 상용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도심 여건에 맞는 UAM 비행체 안전성 및 교통관리 기능시험 등 통합 운용하는 실증 프로그램이다.
■ UAM팀코리아
도심항공교통 분야 주요 47개 기관이 참여하는 도심항공교통 민관협의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부, 국방부 등 정부 부처를 비롯해 현대차, 한화시스템, 현대건설, SKT 등 주요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건국대, 극동대 등, 지자체로는 부산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등, 공공기관으로는 항공우주연구원, 항공안전기술원 등이 참여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