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 미래경쟁력을 위해 혁신적인 기술과 글로벌 표준을 깊이 논의했다.”
장현영 한국전력기술소장은 UAM(도심항공교통) 포럼 글로벌 분과위원장이다. ‘UAM 글로벌 컨퍼런스2023’에서 사회자로, 패널토론의 좌장을 맡았다.
국토교통부 K-UAM에도 참여중인 그는 “공동 시험장치, 드론 기체 결함 주요인인 주파수라는 것에 대해 스탠다드를 제가 제안을 해서 출판을 앞두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가 최근에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멀티포트다. 그는 “멀티포트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비행기 한 대, 그룹이 한 몸체처럼 시스템을 눈여겨봐야 한다. 급속충전의 경우 테슬라와 우버를 비교할 만하다”고 말했다.
에너지 절감하는 경제적인 면과 불이 안나는 알고리즘과 키트를 개발중이다. 이것이 완료되면 멀티포트가 크게 업데이트할 것으로 보인다.
장 소장은 “이착륙 관련 랜딩할 때 음악이 나오는 방법을 적용하는 디자인을 찾고, K-UAM과도 적극 협력해 우리 회사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UAM 글로벌 컨퍼런스2023는 융합과 통합해 한 목표를 원한다. 미래 통찰력이 뛰어난 이들이 모였다”고 말했다.
‘UAM 글로벌 컨퍼런스2023’에는 표준화 주도를 이끌고 있는 미국의 존 스컬 워커, 일본의 요시 이치가와 교수, 중국의 체 지아싱 교수, 필로포 도마스셀로 교수가 참여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