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대의 국제게임쇼 ‘지스타 2021’이 17일부터 21일까지 총 닷새간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 및 제2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해 2년만에 오프라인 전시를 재개한 이번 지스타는 총 1221부스(BTC관 908부스, BTB관 313부스)로 치러진다. BTC관에는 메인스폰서인 카카오게임즈를 비롯해, 크래프톤, 그라비티, 시프트업, 엔젤게임즈, 인벤, 텐센트 오로라 스튜디오, 레드브릭 등이 참가한다. 또 BTB관에는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위메이드, 한아세안센터, NHN, 플레이위드, 앱애니 등이 부스를 꾸린다.
카카오게임즈는 100부스 규모의 부스를 운영한다. 신작 3종과 ‘오딘: 발할라 라이징’, ‘이터널 리턴’ 등 주요 인기 게임 4종 등 총 7종의 게임 라인업으로 꾸려진다. 특히 가장 많은 관심을 모으는 신작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를 비롯해 아름다운 도트 그래픽 기반의 횡스크롤 액션 RPG ‘가디스 오더’, 화려한 3D 그래픽의 매력적인 미소녀 캐릭터들을 선보이는 수집형 RPG ‘에버소울’ 등 신작 3종을 공개한다.
크래프톤은 지난 11일 글로벌 정식 출시한 모바일 배틀로얄게임 ‘배틀그라운드: 뉴스테이트’를 선보인다. 전시관 디자인 및 구성에 ‘배틀그라운드: 뉴스테이트만의 독창적인 미래 세계관과 아이덴티티를 더해 방문객들의 게임 경험을 한 층 더 높일 예정이다.
방문객들이 ‘배틀그라운드: 뉴스테이트’를 다채롭게 채험할 수 있도록 ▲게임 체험존, ▲뉴배 MBTI존, ▲’이모트 댄스 챌린지존, ▲포토존, ▲굿즈숍 등이 운영된다. 또한 일반 관람이 시작되는 18일부터 셀러브리티와 크리에이터가 ‘뉴배 챌린지 매치’ 및 라이브 토크 등 이벤트 매치를 진행한다.
그라비티는 7개 타이틀을 선보인다. ‘라그나로크’ IP 타이틀로는 ▲‘라그나로크 비긴즈(Ragnarok Begins)’ ▲‘라그나로크 V: 부활(Ragnarok V: Returns)’ ▲‘라그나로크: 더 로스트 메모리즈(Ragnarok: The Lost Memories)’ ▲‘PROJECT T(가칭)’가 공개된다. 또 NBA 공식 라이선스 모바일 농구게임 ‘NBA RISE’, 그라비티 일본 지사에서 준비 중인 ‘밀크메이드’ 등도 만날 수 있다.
시프트업은 올해 지스타 현장에서 총 80개 부스를 운영하며, ‘니케: 승리의 여신’을 메인 타이틀로 선보일 예정이다. 더불어 지스타 기간 동안 보다 많은 관람객들이 ‘니케: 승리의 여신’을 체험할 수 있도록, 총 70대의 모바일 시연 기기를 부스에 마련, 편안한 환경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동선을 구성하고 체험존을 운영할 계획이다.
엔젤게임즈는 자체 개발한 모바일 2D 액션 RPG ‘신의 탑M: 위대한 여정’과 액션 어드벤처 ‘원더러스: 더 아레나’를 출품한다. 현장 관람이 어려운 이용자들을 위해서도 스트리밍 연동 온라인 이벤트를 준비해 풍성한 볼거리와 즐거움을 전달할 예정이다.
텐센트 오로라 스튜디오는 자체 개발한 모바일 MMORPG ‘천애명월도M’을 총 40부스에서 선보인다. 부스에는 게임 시연존과 사전예약존이 상시 운영되며, 코스튬 플레이어와 함께 기념 촬영을할 수 있는 포토존이 설치된다. 또 특정 시간대 별로 유명 인플루언서와 ‘천애명월도M’ PVP 매치를 실시한다.
창작 플랫폼 레드브릭은 플레이존(Play Zone), 빌드존(Build Zone)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플레이존은 SW 창작 플랫폼 ‘위즈랩’을 통해 제작된 개인 크리에이터들의 게임을 전시하고 방문객들이 플레이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며, 빌드존은 레드브릭 3D빌더를 통해 게임을 직접 만들어 보는 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주요 부대행사인 지스타 컨퍼런스는 18일부터 19일까지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개최된다. 1일차 키노트 연설에는 프로젝트 ‘이브’ 및 ‘니케’를 개발하고 있는 시프트업의 김형태 대표가, 2일차 키노트 연설에는 SKT MNO사업부에서 메타버스를 총괄하고 있는 전진수 CO장의 강연이 진행된다.
게임 캐릭터들의 모습을 재현하는 축제인 ‘코스프레 어워즈’는 지스타 현장 특설무대에서 진행된다. 결선은 아프리카TV 및 트위치의 지스타TV 채널을 통해 생방송된다.
한편 올해 지스타는 미성년자들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성인과 미성년자 구분 없이 백신접종 완료 또는 PCR 음성 확인자만 참관을 허용한다. 현장 방문이 어려운 관객들을 위해 행사장 운영서는 시간과 동일하게 온라인 방송을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