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탐색하기 위해 민-관-군-산-학-연이 뭉쳤다.”

국방로봇학회(학회장 김인호, KAIST초빙교수·前 ADD 소장)는 9월 5일(월)부터 7일(수)까지 ‘차세대 유·무인 복합전투체계(Next Manned & Unmanned Teaming)’를 주제로 대전 컨벤션 센터(DCC)에서 ‘제2회 국방로봇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학술대회는 미래 국방로봇의 발전을 위해 민-관-군-산-학-연이 집단지성을 모으는 뜻깊은 자리다. 

학술대회에서는 이정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국제자문위원장박상준 서울SF아카이브 대표가 ‘별들의 전쟁(Star Wars) 서막과 한국군의 미래 :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인가?’와 ‘전쟁 AI와 로봇공학의 3원칙’이라는 주제로 각각 기조 강연을 하며 개회식에서는 이장우 대전시장의 환영사에 이어, 이종호 해군참모총장과 이광형 KAIST 총장이 축사를 한다.

로봇 전문가들의 특별강연도 준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차원준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 ArmyTIGER실장(최소희생, 전승(戰勝) 보장을 위한 육군의 유무인복합전투체계, Army TIGER!), ▲신동준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부교수(인간중심 AI 로보틱스 : 패러다임의 새로운 전환), ▲권병형 LIG넥스원 C4ISTAR사업부문장(부사장)(미래 전장 환경 변화에 따른 유·무인 복합체계 발전방향), ▲조상근 육군대학 전략학 교관(미래전쟁 양상과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등이 강연에 나선다.

분야별 발표는 지상 로봇, 항공-우주, 해양 로봇, 착용 로봇, 로봇 요소 기술, 로봇 운용 및 정책, 생체 모방 로봇 세션 등으로 구분하여 구두발표와 포스터 발표로 진행된다. 미래 국방로봇 운용의 주체인 육군대학 학생장교(소령, 300여 명), 소부대 지휘자(관), 각군 사관생도, 과학기술병 등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특히, 학술대회 2일차(6일, 화) 오후에는 ‘해양 무인 분야 특별 세션’이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 ▲권래언 ADD 선임연구원(대잠정찰용 무인잠수정 개발 현황), ▲김기열 ADD 선임연구원(무인잠수정용 에너지원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전봉환 KRISO 본부장(KRISO 수중무인체계 기술 개발 및 활용 동향), ▲최병웅 한화시스템 박사(해양무인체계의 수상/수중 군집 운용기술 활용 방안), ▲유재관 LIG넥스원 연구소장(무인수상정 개발현황 및 실시간 수중정보 획득 방안), ▲김진환 KAIST 교수(MBZIRC 해양로봇 챌린지 대회) 등이 발표에 나선다.

또한, 학술대회 2일차(6일, 화) 오전에는 국방로봇학회 협력업체에서 소요군(육·해·공)이 필요로 하는 미래 국방로봇기술을 컨설팅해주는 ‘기업 간담회’가 열린다. 

오후에는 민·관·군·산·학·연에 종사하는 젊은 연구자들의 와해적이고 번뜩이는 국방로봇기술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경연대회 형태의 ‘Mad Military Robot Scientist Challenge’가 개최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극지(그린란드)에서 빙하 관측을 위한 비행 시험에 투입된 드론. 사진=항우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극지(그린란드)에서 빙하 관측을 위한 비행 시험에 투입된 드론. 사진=항우연

마지막날(7일, 수) 오전에는 ‘차세대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주제로 워크숍이 마련되어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 ArmyTIGER실 김정혁 대령(AI 기반 전술제대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해군미래혁신센터 안상겸 중령(진)(지능형 자율체계 자율화 수준 연구), ▲육군항공사령부 항공발전센터 신동원 대령(진)(헬기 유·무인 복합체계 운용 개념), ▲육군대학 전략학처장 권영호 대령(DMZ 유·무인 복합경계체계 구축방안 구상) 등이 소요군에서 구상하고 있는 미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설명할 예정이다. 

국방로봇학회는?

국방로봇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과학자와 군사전문가들을 중심으로 2021년 2월 19일 설립되었고, ‘로봇으로 국방의 미래를 선도하는 국방로봇학회’를 비전으로 삼고 있다. 향후 국방로봇학회는 이와 같은 비전을 바탕으로 민·관·군·산·학·연의 가교 역할을 담당하면서 ▲국방로봇관련 학술 연구 및 기술 조사, ▲논문지 및 도서의 발간, ▲연구발표회, 강연회 및 강습회의 개최, ▲국방로봇 표준 및 규격의 제정에 관한 연구, ▲국제교류활동, ▲국방로봇 관련 자문 및 정책 건의 등의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