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를 기반으로 한 생성형 인공지능 Chat GPT가 일으킨 돌풍은 인공지능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한껏 끌어올렸다. 이미 우리 주변에 영향을 미치고 있던 인공지능을 Chat GPT가 수면 위로 급부상시킨 것이다. '알파고 붐' 이래 7여 년 만이다.
Chat GPT가 집필한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는가 하면 하루가 멀다 하고 수많은 분야의 학계에서 인공지능 포럼이 개최된다.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Chat GPT 교육 기회를 늘리는 등 업무적 활용을 시도하는 곳도 점점 느는 추세다.
물론 게임 업계에서도 인공지능은 다양한 부분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공지능과 직접 게임을 즐길 수는 없을까. 인공지능과 함께 즐기거나 한 수 겨뤄볼 수 있는 게임들을 알아보자.
■ 알파고의 계보를 잇다, 인공지능 바둑 엔진
아마 대중에게 가장 유명한 인공 지능은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 승리한 바둑 엔진 알파고일 것이다. 프로기사를 맞바둑으로 이긴 최초의 프로그램이자 바둑의 프로그램을 완전히 바꾼 인공지능으로 유명하다.
알파고 시리즈의 특징이라면 강화 학습을 통해 인간의 기보를 학습하고, 동작 예측에 심층 신경망과 향상된 검색 트리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경기 결과로 꾸준한 재학습 과정을 거쳐 더욱 강해지는 특징을 가진다.
알파고 제로와 이를 다른 종목으로 일반화 한 알파 제로를 마지막으로 알파고 시리즈는 개발이 완전히 종료됐다. 그러나 알파고 제로를 베이스로 하는 절예, 딥젠고, 릴라 등 제로 계열 인공지능 바둑 엔진은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바둑 엔진은 바둑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바둑 교육을 굳이 사람에게 배울 필요가 사라진 것이다. 그간 정석으로 받아들여졌던 수와 격언들은 낡은 것이 되었고, 해설에 있어 다음 수 예측 및 형세 또한 AI가 도맡아 하고 있다.
■ 프로 못지 않은 체스 실력, 스톡 피시 엔진
체스 엔진이란 체스 포지션을 분석하고 계산을 통해 최선의 수를 찾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컴퓨터가 체스 선수라면 체스 엔진은 두뇌라고 할 수 있다.
스톡 피시는 가장 유명하고 강력한 오픈 소스 체스 엔진이다. 레이팅 2700 이상이면 세계 체스 챔피언 후보로 꼽히는데, 스톡 피시의 최대 레벨의 레이팅은 약 3500 수준이다. 꾸준히 체스 엔진 순위에서 1위 혹은 상위권에 랭크 했으며, 수십 번 넘는 각종 체스 엔진 챔피언십 우승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체스 엔진은 주로 대국을 분석하거나 사용자와의 대국에 사용된다. 스톡 피시 엔진을 사용하는 사이트는 체스 닷컴과 리체스가 있다. 체스 닷컴은 분석에 스톡 피시를 사용하며, 리체스는 대국과 분석 모두 주력 엔진으로 사용 중이다.
실제로 체스 닷컴은 스톡피시가 가장 유명한 체스 대국 중 하나인 폴 모피의 오페라 게임을 분석하는 영상을 업로드하기도 했다. "이 수의 가장 좋은 점은 이 게임을 빨리 끝내는 것", "인간은 이 수에 박수를 보내지만 나는 0.000001초 만에 대응을 생각할 수 있다"라는 등 스톡 피시의 신랄한 평이 일품이다.
■ 인공지능과 캐치 마인드를, 구글 퀵 드로
픽셔너리는 Picture와 Dictionary의 합성어로, 주어진 단어를 보고 그림을 그려 단어를 설명하는 유명한 보드 게임이다. 픽셔너리는 몰라도 비슷한 종류의 게임인 캐치마인드는 한 번쯤 들어 본 적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과 함께 픽셔너리 게임을 즐길 수도 있다. 구글 퀵 드로는 인공지능이 플레이어가 그린 사물이나 개념에 대한 그림을 통해 해당 낙서가 표현한 제시어를 알아 맞춘다.
구글 퀵 드로는 구글의 AI Experiments를 통해 공개된 인공지능 체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다. 단순히 그림을 그려 맞히는 놀이일 뿐 아니라 제시된 주제에 대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표현했는지, 또 이를 인공지능이 어떻게 학습했는지도 알 수 있다.
이 게임의 목적은 머신 러닝 학습을 통해 낙서를 인식하도록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것이다. 구글은 머신 러닝 연구를 위해 세계 최대의 낙서 데이터를 오픈 소스로 공유하고 있다.
■ 인공지능 가이드와 함께 하는 모험, AI 던전
미드저니와 같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공지능이 있는가 하면, 텍스트를 생성하는 인공지능도 존재한다. 당장 돌풍을 일으킨 Chat GPT 또한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생성형 인공지능이다.
AI 던전은 플레이어가 주체가 되어 진행하는 텍스트 게임이다. 플레이어가 텍스트를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다음에 나올 문장을 예측하여 출력한다.
가령 "나는 마을에 도착했다"라고 사람이 입력하면 "당신은 마을 주민에게 친절을 베풀어 그가 습득한 지도를 얻었다. 당신은 지도를 따라가겠는가"라는 답변을 받는 식이다. 플레이어가 그러겠노라 대답하면 "지도에 표시된 위치에 보석이 파묻혀 있었다. 보석을 어떻게 하겠는가" 등 다음 상황을 출력한다.
텍스트 게임은 플레이어가 선택한 테마를 기준으로 인공지능이 직접 작성한 문장들에 의해 진행된다. 플레이어가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록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전 게임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의 게임 데이터로 스스로 학습하며 발전하기 때문에 높은 자유도를 자랑한다.
AI 던전 뿐만 아니라 홀로AI, 노벨AI 등 다양한 텍스트 게임이 존재한다. 플레이어의 취향대로 골라 잡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