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부인 김건희 씨의 한국게임산업협회 허위 경력 논란이 게임업계로도 번졌다.

YTN 보도에 따르면, 김건희 씨는 지난 2007년 수원여대 초빙교수에 지원하면서 한국게임산업협회 기획팀 기획이사로 3년간 재직한 것으로 경력증명서에 기재했다. 당시에는 개명 전 이름인 김명신으로 돼 있다. 재직기간은 2002년 3월부터 3년이다. 하지만 한국게임산업협회는 2004년 6월에야 설립됐다. 

이에 대해 김건희 씨는 인터뷰에서 “게임산업협회와 같은 건물에 있으면서 협회 관계자들과 친하게 지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당시 근무 기간을 잘못 기재하는 착오가 있을 순 있지만, 재직 증명서를 위조한 건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김건희 씨의 주장에 전 한국게임산업협회 사무국장이 나섰다. 14일 최승훈 전 사무국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생활 문제라 보아 어물쩍 넘어갈 일이 아닌 것 같다”며 김건희 씨의 주장에 반박했다.

그는 “저는 게임산업협회의 전신인 게임산업연합회에서 2002년부터 사무국장으로 재직하다가 2004년 게임산업협회가 설립되면서 이후 5년간 협회에서 정책실장과 사무국장으로 재직했다”며 “김건희라는 분과 함께 근무한 적은 물론 본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건희 씨는 같은 건물에 있으면서 협회 관계자들과 친하게 지냈다고도 말하는데, 이 기간 동안 전신인 연합회는 2002년~2004년 화곡동의 독립건물(회장의 개인소유 건물), 2004년 역삼동 스타타워(NHN 사옥 내부), 2005년 이후 2007년 사이에는 교대역 법조타운에 사무실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화곡동과 역삼동에서는 ‘같은 건물에서 친하게 지냈다’는 말이 애초에 성립할 수가 없고, 법조타운 시절에서도 같은 건물에 있는 누군가가 협회 직원들과 친하게 진했던 기억이나 개연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최 전 사무국장에 따르면 게임산업연합회 시절에는 협회 직원이 최대 4명이었고, 게임산업협회도 초창기에 직원 수가 10명 미만의 작은 조직이었으며 직원들은 가족처럼 친하게 지냈다. 

그는 “김건희씨가 이력서에 적은 바로 그 당시에 재직했던 사람으로서 김건희씨가 이력서에 적었던 게임산업협회 관련 경력과 인터뷰에서 해명한 내용은 제가 기억하고 있는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분명하게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김건희 씨가 제출했다는 게임산업협회 재직증명서에 대해서도 의문을 나타냈다.  최 전 사무국장은 “대학에 제출한 이력서에 게임산업협회 명의의 재직증명서가 첨부되어 있다는 보도가 있는데, 이 문서의 진위 여부가 반드시 확인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게임산업협회가 근무하지도 않은 자에게 재직증명서나 발급하는 이상한 단체로 비춰지는 것은 그 당시 협회에 근무했던 제 자신과 협회 모두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불명예”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