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파시 'AI 액션 서밋'에서  패널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파시 'AI 액션 서밋'에서  패널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AI 액션 서밋’(제3차 AI 정상회의)이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개막해 이틀간 열렸다.  

샘 알트먼 오픈AI CEO,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사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이 참석해 시선이 집중되었다. 

그렇다면 ‘AI 액션 서밋’(AI Action Summit)는 왜 주목을 받고 있는 걸까? 이번 파리 ‘제3차 AI 정상회의’는 2023년 11월 영국의 ‘AI 안전 서밋’과 지난 5월 ‘AI 서울 서밋’에 이어 3번째로 열리는 AI 서밋 행사다.

파리 행사에는 최수연 대표 등 위에 소개된 80개국의 기업 관계자외에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비롯해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위원장,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참석했다. 

첫날 패널 토크와 워크숍을 진행하고, 엘리제 대통령궁에서 만찬을 했다. 이번에도 이전 서밋처럼 윤리적이고 민주적이며 지속 가능한 AI에 대한 공동선언을 내놨다. 

파리 서밋에서는 ‘사람과 지구를 위한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인공지능에 관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서명국들은 6가지 우선 순위에 동의했다.

우선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AI 접근성 증진, 둘째 인공지능이 개방적이고, 포용적이며, 투명하고, 윤리적이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모든 사람을 위한 국제적 틀을 고려한다. 

셋째 인공지능의 발전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고 시장 집중을 피함으로써 산업 회복과 발전을 촉진한다. 넷째 일과 노동 시장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인공지능의 배치를 장려한다. 

다섯째 사람과 지구를 위해 지속 가능한 인공지능을 만든다. 여섯째 국제 거버넌스의 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국제 협력을 강화한다.

이 성명서는 중국과 인도를 포함한 58개 국가와 27개 회원국을 둔 유럽연합(EU)과 55개 회원국을 가진 아프리카 연합이라는 두 초국가적 단체의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AI 액션 서밋에 초대된 미국과 영국 정부는 서명을 거부했다. 

JD 밴스 미 부통령은 이 행사 폐막식에서 “AI 산업에 과도한 규제를 해서는 안 된다”고 연설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이 기술을 이용해서 통제를 강화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미국은 최종 합의문에 서명하지 않았다. 트럼프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가 두드러졌다는 평이다. 

이처럼 이 행사는 2023년 영국이 AI 규제에 대한 글로벌한 영향력을 과시하기 위해 만들었다. 하지만 행사에서 공동성명이 나오지만 실제 바뀐 것은 거의 없는 평도 받고 있다. 

대신 AI 규제에 대한 부분이 첨예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지난해 EU가 내놓은 AI 규제법과 새 출범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부딪치면서다. 

또한 주최국의 정부 홍보용으로 활용된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이번 행사를 맞아 프랑스 정부는 국내외 자본을 끌어모아 AI와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1090억유로(163조4346억원) 규모의 민간 AI 투자를 한다고 발표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