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에서 코스모스플랫폼을 소개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 사진=엔비디아
CES에서 코스모스플랫폼을 소개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 사진=엔비디아

엔비디아가 새로운 로봇-자율주행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를 공개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6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기조연설을 통해 “새로운 물리적 AI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코스모스 플랫폼’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비디오 프롬프트를 입력받아 가상 세계 상태를 영상으로 생성하는 플랫폼이다. 

물리적 법칙이 적용되는 현실과 동일한 3D 환경을 만들어낸다. 로봇-자율주행 기술 개발 과정에서 현실과 동일한 가상세계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젠슨 황은 “코스모스는 로봇과 자율주행 차량의 실제 환경, 조명 등을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해 예측 가능한 모든 미래를 예측하고 최적의 행동을 선택할 수 있는 AI(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스모스를 로봇과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소개한 것이다 

특히 “로봇공학의 챗GPT(ChatGPT)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대규모 언어 모델과 마찬가지로, 세계 기반 모델은 로봇과 자율주행차 개발을 진전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하지만, 모든 개발자들이 자신만의 모델을 훈련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자원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며, “우리는 코스모스를 통해 물리적 AI를 민주화하고 모든 개발자가 일반 로봇공학을 접근 가능하게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코스모스 플랫폼을 오픈소스 플랫폼 깃헙에 오픈 라이선스로 공개했다. 우버와 현대차그룹 등 주요 기업들이 코스모스 플랫폼을 이용해 자율주행 기능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