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대중정신건강전문지 ‘정신의학신문’ 창간인 인문 심리서 출간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자기 마음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한국 최초 대중정신건강전문지 ‘정신의학신문’ 창간인이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정정엽 원장이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는 인문심리서를 펴냈다.

스스로를 긍정하게 만드는 자기감 회복 훈련, 내 감정과 생각을 다루는 법을 알려주는 인문 심리서라는 설명이 편하다.

광화문에서 정신과 의원을 운영하며 수많은 직장인을 치료하고, 일반인에게 정신건강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정신의학신문’을 창간해 5년째 운영하며 여러 사연에 상담해준 저자의 단단한 내공과 통찰이 돋보이는 책이다.

■ 타인의 시선에 맞춰 살았으니 열심히 살아도 허무하고 공허

우리는 언제부터 ‘하고 싶다’보다 ‘해야 한다’를 먼저 선택하게 되었을까? 대학에 가면, 취직을 하면, 승진을 하면, 결혼을 하면 원하는 대로 살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오히려 자식으로서, 연인으로서, 친구로서, 직장 선후배로서 ‘해야 할 일’ 목록은 점점 늘어만 간다.

그러다 보면 내 생각과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습관이 되고, 결국에는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조차 알지 못하게 된다. 타인의 시선에 맞춰 살았으니 열심히 살아도 허무하고 공허한 마음이 들고 무기력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똑똑하고 관찰력이 좋아 타인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바를 빨리 알아차리고, 주변 사람들을 잘 챙기며, 열심히 사는 사람일수록 자신에 대한 생각 즉 자기감(sense of self)이 흐릿할 가능성이 높다.

자기감이 흐릿하면 감정이나 생각, 욕구가 강하지 않아 다른 사람들의 것을 자신의 것으로 쉽게 착각하게 된다. 작은 선택부터 큰 선택까지 다른 사람 손에 달려 있으니 삶의 주도권을 잃어버리는 것은 시간문제다. 

정정엽 원장은 삶의 주도권을 잃어버린 이들에게 가장 먼저 자신의 감정과 생각부터 제대로 보기를 권한다. 그리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이들을 위해 셀프 심리 코칭 과정을 자세하게 담았다.

정신의학 이론을 토대로 감정과 생각을 객관적으로 인지하고 데이터화하는 방법을 충실히 설명하며 다양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생활에 적용해볼 만한 팁까지 제시한다.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알고 용기 있게 선택할 때, 즉 삶의 결정권이 내 손 안에 있을 때 인생은 비로소 자유로워진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직장 생활부터 인간관계까지 자신을 억압했던 것들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인생의 주인이 되는 삶에 한발 더 가까워질 것이다. 

■ “한국인의 우울감...타인이 내게 바라는 것이 내가 원하는 것이라는 착각 때문”

그는 대다수 한국인이 우울감을 느끼는 이유가 삶의 수준을 정해놓고 살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그리고 자신 역시 남들이 보기에 괜찮은 삶을 살기 위해 무던히도 애썼다고 고백한다.

운이 좋아 목표한 바를 몇 개 이루었지만 성취로 인한 기쁨은 짧았고 결핍을 채우기 위해 새롭게 세운 목표들이 계속해서 자신을 압박하고 힘들게 만들었다. 사회에서 인정받은 것이 훌륭한 것이고, 다른 사람이 내게 바라는 것이 내가 원하는 것이라고 착각하며 살 때 삶은 무의미와 허무로 가득 찬다.

저자는 억압에서 벗어나는 열쇠를 정신의학에서 찾았다고 밝히며, 과거의 자신처럼 심리적 자유를 박탈당한 채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사람들을 위해 이 책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직장 생활부터 인간관계까지 자신을 억압했던 것들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스스로 결정하는 삶에 한 발 더 가까워질 것이다. 

그는 “높은 자존감은 건강한 자기감 위에 세워질 수 있다. 타인이 원하는 것으로만 가득 채운 삶보다 위험한 것은 없다”고 충고했다.

이시형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전 강북삼성병원장)의 “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책은 많지만 정작 그 방법을 알려주는 책은 드물다...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내가 바라는 것을 용기 있게 선택할 수 있을 때, 그러니까 삶의 결정권이 내 손 안에 있을 때 인생은 자유로워진다”는 추천사가 귀에 쏙 들어온다..

정정엽은?
‘광화문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원장. 한양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과정을 마쳤다. 군의관 시절 군대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장병들을 대상으로 인지 치료 기반의 집단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질환뿐만 아니라 일상의 괴로움에도 정신의학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경험으로 생활 속에서 마음 건강을 관리하는 일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사람들이 마음이 아플 때 주저 없이 전문가에게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정신과 치료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힘쓰고 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사무총장, 서울고등검찰청 정신건강 자문위원, 보건복지부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 위원, 서부교육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심의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