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연구자들 모여 게임과몰입 진단기준 논의

[축사를 맡은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게임 산업의 성장으로 사회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게임과몰입’에 관한 국내외 유수의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직무대행 강만석)이 후원하고 게임문화재단(이사장 직무대행 강신철)이 주관하는 ‘게임과몰입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국제 심포지엄이 2일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정신의학계에서 세계적인 진단기준으로 인정받고 있는 미국 정신의학회(APA)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DC)’에서 각각 다루는 게임과몰입 진단기준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중립적인 공동연구 방안을 모색하는 학술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메레디스 긴리 멤피스대학교 임상심리학 박사는 ‘정신장애의 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DSM-5)에 따른 ‘게임과몰입’의 개념을 설명했다. 새로운 진단을 도입하기 위해 증거를 제출했고, 도박 중독과 구분을 두기 위해서다. ‘게임과몰입’은 비물질중독으로 포함됐고, 기준이 더욱 일관성을 갖도록 여러 차례 변경됐다.

‘게임과몰입’에 대한 현재까지 연구결과가 제한된 기준과 모두 임상적으로 심각한 피해와 연결돼 있고, 보다 많은 연구결과와 역학조사, 문화적인 측면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게 메레디스 긴리 박사의 설명이다.

이어 요엘 빌리외 룩셈부르크대학교 임상심리학 교수는 WHO의 ‘국제질병분류 제11차 개정판(IDC-11)’에 포함된 ‘게임과몰입’ 진단기준의 쟁점을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보건복지부가 ‘게임과몰입’에 대한 질병코드 분류에 업계와 게이머들 사이에 논란이 일어난 부분이다.

요엘 빌리외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IDC-11 베타 드래프트에 포함된 ‘게임과몰입’의 정의는 게임이 일상적인 활동을 지배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게임과몰입’이 IDC-11에 포함되자 WHO는 학자와 사회적으로 수많은 비판에 직면했고, 이러한 비판을 중요하게 여기며 ‘게임과몰입’의 IDC-11 포함에 정당화할 수 있었다.

IDC-11에 포함된 ‘게임과몰입’은 별도의 기준을 세우지 않았다. 물질 중독에 사용된 기준을 그대로 가져왔고, 이를 통해 9개의 기준에 포함된다면 병적인 게이머가 된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물질 중독과 차이가 나는 ‘게임과몰입’은 증상에 대해 정확하게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 중독에 포함되지 않는 범위까지 넣는 덫에 빠지지 않을지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요엘 빌리외 교수는 “게임과몰입은 잠재적인 행위 중독일수도 있다. 아시아에서는 게임과몰입에 치료에 대한 캠프를 운영한 사례도 봤다”며 “게임과몰입은 기능장애로 연결되기도 한다. 중요한 부분에서 기능상 장애가 나타난다. 종단적인 연구와 횡단적인 연구에서도 뒷받침하는 사례가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는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조현래 문화체육관광부 국장, 김영철 한국콘텐츠진흥원 부원장, 윤준희 게임개발자협회장, 김정욱 넥슨코리아 부사장, 서장원 넷마블게임즈 부사장, 강신철 게임문화재단 이사장 직무대행 등 정부 주무부처 및 게임 산업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저작권자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